🧠 개념 설명
1️⃣ 조건문이란?
조건문은 특정 조건에 따라 코드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문법이에요.
예를 들어, 어떤 값이 10보다 크면 출력하고 아니면 무시하는 식이죠.
실제 개발에서는 분기 처리를 위해 매우 자주 사용돼요.
2️⃣ 자바에서 조건문 종류
자바에는 대표적으로 세 가지 조건문이 있어요:
if
,if-else
,if-else if
switch-case
- 조건 연산자 (
? :
) → 이건 지난 강의에서 배웠죠!
3️⃣ 비교 연산자와 함께 사용
조건문은 ==
, !=
, <
, >=
같은 비교 연산자와 함께 사용돼요.
또한 &&
, ||
, !
같은 논리 연산자를 조합하면 복잡한 조건도 쉽게 만들 수 있어요.
💻 예제 1 – 기본 if 조건문
public class IfExample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core = 90;
if (score >= 80) {
System.out.println("축하합니다! 합격입니다.");
}
}
}
📌 조건이 true
일 때만 실행됩니다. 위 예제는 80점 이상이면 합격 메시지를 출력해요.
💻 예제 2 – if-else 조건문
public class IfExample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core = 75;
if (score >= 80) {
System.out.println("합격입니다.");
} else {
System.out.println("불합격입니다.");
}
}
}
✅ if
가 아니면 else
! 두 갈래로 나뉘는 분기 처리에 사용돼요.
💻 예제 3 – if-else if 조건문
public class IfExample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core = 65;
if (score >= 90) {
System.out.println("A등급");
} else if (score >= 80) {
System.out.println("B등급");
} else if (score >= 70) {
System.out.println("C등급");
} else {
System.out.println("재시험 대상입니다.");
}
}
}
💬 여러 조건 중 하나만 해당되면 실행되므로,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검사해요.
💻 예제 4 – switch-case문
public class Switch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day = 3;
String dayName;
switch (day) {
case 1: dayName = "월요일"; break;
case 2: dayName = "화요일"; break;
case 3: dayName = "수요일"; break;
default: dayName = "알 수 없음"; break;
}
System.out.println("오늘은 " + dayName + "입니다.");
}
}
📌 switch
는 정해진 값 중 하나를 고르는 데 매우 유용해요.break
를 빠뜨리면 아래로 계속 실행되니 주의!
⚠️ 자주 하는 실수
=
를==
로 착각해서 대입 대신 비교 못함else if
대신else
만 써서 조건 누락switch
에서break
안 써서 전부 실행됨
🧠 정리 한 줄 요약
자바 조건문은 코드 흐름을 제어하는 기본 도구!if
, else 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