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념 설명
1️⃣ 배열이란?
배열은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하나로 묶어서 저장할 수 있는 자료 구조예요.
예를 들어 성적 5개, 이름 10개 등 여러 값을 한 줄로 정리할 수 있어요.
2️⃣ 왜 배열을 써야 할까?
같은 종류의 변수를 하나하나 선언하면 번거롭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요.
배열을 쓰면 반복문과 함께 다룰 수 있어서 훨씬 효율적이에요.
3️⃣ 배열의 특징
- 고정된 크기: 한 번 크기를 정하면 변경 불가
- 0부터 시작하는 인덱스
for
문과 찰떡궁합
💻 예제 1 – 배열 선언과 초기화
public class ArrayExample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cores = new int[5]; // 5개의 공간 만들기
scores[0] = 90;
scores[1] = 85;
scores[2] = 78;
scores[3] = 92;
scores[4] = 88;
System.out.println("첫 번째 점수: " + scores[0]);
}
}
📌 new int[5]
는 5칸짜리 정수 배열을 만드는 코드예요.
💻 예제 2 – 배열과 for문 함께 사용
public class ArrayExample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cores = {90, 85, 78, 92, 88};
for (int i = 0; i < scores.length; i++) {
System.out.println((i+1) + "번째 점수: " + scores[i]);
}
}
}
💡 배열은 length
속성을 통해 크기를 알 수 있어요.
반복문과 함께 쓰면 매우 강력!
💻 예제 3 – 문자열 배열
public class ArrayExample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fruits = {"사과", "바나나", "포도"};
for (String fruit : fruits) {
System.out.println("과일: " + fruit);
}
}
}
🍎 향상된 for
문(for-each
)은 배열을 더 간단하게 순회할 수 있어요!
💻 예제 4 – 배열의 한계와 주의점
public class ArrayExample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data = new int[3];
data[0] = 1;
data[1] = 2;
data[2] = 3;
// data[3] = 4; // ❌ 오류 발생! 인덱스 초과
}
}
⚠️ 배열은 한 번 크기를 정하면 늘릴 수 없어요.
인덱스를 벗어나면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오류가 나요!
🧠 정리 한 줄 요약
배열은 같은 타입 데이터를 모아서 편하게 다룰 수 있게 해주는 도구!for
문과 함께 쓰면 강력하지만, 크기 고정과 인덱스 초과 주의!